본문 바로가기

경제 Youtube 요약10

슈퍼 사이클은 몇 년도에 오는 걸까?(3대 사이클) 요약. 핵심 요약 - - 슈퍼 사이클 시기 예상 : 2024 ~ 2027년. - 사이클의 패턴 : 좋아졌다가 나빠졌다가 하는 것의 반복. 불황일 때 사서 호황일 때 판다. - 사이클의 종류 : * 4년 단기 사이클 (키친 사이클) : 반도체 , 가전 , 소비재, 자동차 등. * 10년 중기사이클 (주글라) : 공장 설비 투자. 대규모 투자 후 나타남. Ex ) 화학 , 정유 , 자동차 * 20년 장기사이클 (쿠즈네츠) *** 10년 사이클 (주글라) 과 20년 사이클 (쿠즈네츠) 의 교집합. -> 1987 , 2007 , 2027 년은 훨씬 더 큰 파동이 온다. * 17년 사이클 (한센 사이클) : 부동산 사이클. 영국 , 일본 , 미국의 부동산을 분석했던 결과 17년 주기로 호황과 불황을 거친다 . 1990년.. 2022. 10. 25.
2023년 "이 주식 " 사는 걸 굉장히 추천합니다. 김광석 실장 요약. 핵심요약. - 코로나 충격으로부터 반등한 EAP(아시아 태평양 지역) 국가들에 2023년에 투자해야 한다. Ex ) EAP ETF 투자. 예시 국가들 : 베트남 , 인도네시아 , 말레이시아 , 필리핀 등. - 아직은 본격적인 경기침체가 시작되지 않았다. 2023년에 시작될 것. - 기업들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. 캐시카우 사업군 (추가적인 투자를 안 해도 돈을 계속 벌어다 주는 사업) 은 유지하고 스타사업군 (투자자금이 많이 들어가지만 당장 돈이 안 되는 사업) 을 철회한다. - 당장 한국에 외환위기가 올 가능성은 없다. - 가계부채의 규모가 2000조 원에 육박. 전체 부채 중에 취약차주 (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계층, 저신용계층) 의 규모는 60조 원(5% 정도). 이런 부채는 정말 힘든 부채이다. .. 2022. 10. 24.
해외투자자도 놀라버린 한국의 가계부채. 김효진 위원. 요약. 핵심 요약 - - GDP 대비 가계부채가 높다. 다른 국가 대비해서도 높은 편이다. Ex ) 한국은 여전히 높고 , 다른 나라들은 2008년 이후 절대규모는 안 줄어도 GDP 대비 부채 부담이 줄었는데 한국은 많이 늘었다. -주택 가격 지수는 급등하다가 최근 아래를 보고 있다. - 우리나라는 변동금리 대출 비율이 78%. 고정금리로 대출받은 사람의 비율이 극히 적다. 금리 인상의 영향에 더 충격이 크다. - 가계부채 이자 부담 증가. (2020년 연 40조 원 -> 2022년 75조 원 수준) 전체 가계소비 금액 대비 8.3%. (100만 원을 쓰면 8만 원은 이자비용) - 취업자 수 급감 전망. 펜데믹 이후 내수 소비 호조 이어갔으나 , 이자 부담과 고용 둔화로 환경 악화. - GDP 대비 가계부채가 .. 2022. 10. 21.
중국 부동산이 제2 리먼사태가 되는 이유 /전인구경제연구소 요약. 핵심 요약 - -빌런들의 등장(특히 중국) -중국의 부동산 문제가 생각보다 더 심각해지고 있다. -중국의GDP 전체의 3분의 1이 부동산이다 (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면 GDP도 크게 하락하는 구조) -중국에서 부동산이 죽으면 모든 산업이 다 죽을 수 있다. -중국의 부양책에도 부동산이 살아나지 않고 있다. 오히려 망해가고 있다. -중국 정부가 부동산을 못 살리면 건설사 , 은행이 줄 부도가 날 수 있는 상황이다. -당대회 이후 중국 정책을 보면서 주식투자에 참고를 하면 좋을 것 같다. - 중국 문제가 생각보다 더 심각해지고 있다. 중국의 가장 큰 문제는 GDP 전체의 3분의 1이 부동산이다. 이와 동시에 도시와 농촌의 소득격차가 8배 정도 벌어져있다. 해안도시들은 한국의 1인당 GDP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.. 2022. 10. 10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