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금리인상2

강경한 미국 vs 함께 죽자는 일본 , 한국의 미래는 ? 이선엽 부장 요약. 핵심 요약 - - 미국 달러가 또는 미국의 금리가 곧 정점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. - 지금 미국이란 국가가 인플레이션 우려 때문에 금리를 너무 빠르게 , 많이 올렸다. - 일본은 제로금리를 유지하고 있다.(GDP 대비 254%의 국가 부채가 있다) - 일본은 제로금리를 유지하면서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빠르게 벌어지고 있다. ** 이게 위기의 단초가 되고 있다. - 하지만 일본은 절대 금리를 올릴 수 없다. 결국 미국이 금리 속도 조절하는 방법밖에 없다. - 그럼 인플레이션은? 그동안 물가가 높았지만 의외로 연말로 갈수록 물가가 생각보다 빠른 속도로 내려갈 가능성이 지표로 확인되고 있다. - 미국 달러가 또는 미국의 금리가 곧 정점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. 지금 미국이란 국가가 인플레이션 우려 때문에 금.. 2022. 10. 30.
지겨운 하락과 반등 , 대체 무엇을 봐야 하나. 이선엽 부장 요약. 핵심 요약 - - 지금은 경기보다 물가에 대한 쇼크 때문에 시장이 하락하고 있는 것이다. - 시장에 대한 하락의 가장 큰 이유는 물가가 너무 높고 이에 따른 긴축의 강도가 높아진다고 해서. - 물가 정점에 대한 기대가 아니라 확신이 들 때가 바닥이다. - 반등이 올 때가 가장 힘들다. 지금은 다 같이 빠져서 다 같이 힘들다. 하지만 반등이 올 때는 다 같이 오르지 않는다. - 11월 2일에 있을 0.75bp 이상의 금리 인상 이후 시장의 반응을 보고 향후 먼 미래를 예상해도 늦지 않다. - 물가에 대한 정점이란 얘기가 쉽지 않다. Why ? 정점이라면 금리인상 확률이 낮아져야 한다. 하지만 아직은 아니다. 지표와 논리가 맞지 않다. - 시장이 하락을 하는 이유. 1. 경기 문제. 경기가 하락하는 경우, .. 2022. 10. 18.